전체상품목록 바로가기

본문 바로가기

[관련정보] 클린룸(크린룸) 설계 및 시공기준의 기본사항 알아보기

(주)에이치엔에스 (ip:125.132.32.130)
삭제하려면 비밀번호를 입력하세요.

안녕하세요. 클린룸 넘버원, (주)에이치엔에스입니다.


클린룸을 설계하고 시공할 때에는 여러 가지 중요한 기준이 적용됩니다. 실제 프로젝트 단계에서 이러한 기준을 철저하게 준수해야만 계획했던 청정도를 달성할 수 있습니다. 오늘 알아볼 설계 및 시공 기준은 청정도 기준을 준수하기 위해 규정되었다고 볼 수 있습니다. 청정도 기준은 공기 중 입자 수를 기반으로 하며 내부의 압력과 온도, 습도, 공기의 흐름을 수치로 판단합니다. 그럼 일반적으로 적용되는 기술기준에 대해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.


클린룸 설계 및 시공기준

일반요구사항

- 모든 내면은 매끄러워야하며 흠집, 턱, 구멍 등이 가능하면 없어야 한다. 모서리는 다듬질을 해주고 모든 연결 배관들과 전선 등은 오염 경로나 오염원이 되지 않도록 설치한다.

- 오염물이 쌓일 수 있는 모든 불필요한 턱이나 유사한 요철들이 없도록 설계해야 한다.

- 청정실의 모든 쌓일 수 있는 모든 불필요한 턱이나 유사한 요철들이 없도록 설계해야한다.

- 청정실의 크기는 실용적인 범위 내 에서 최소한의 크기로 유지해야 한다.

- 청정실의 구조는 장래의 요구 조건에 비추어 쉽게 변경할 수 있도록 설계한다.

- 모든 접합부는 평행하게 연결되어야 하며 수업을 수행하는데 꼭 필요한 것들만을 청정실 내부에서 연결토록 하고 휴지상자, 스위치판, 분리기, 밸브 등과 같은 다른 모든 접합부들은 가능한 청정실 외부에 설치해야 한다.

- 기구, 시험장비, 조명기기 등은 먼지입자나 그 밖의 오염물이 생성이 최소화되도록 설계된 것이어야 한다.

- 실용적인 범위 내 에서 작업자의 움직임을 최소화하기 위한 통신 장비 들을 준비해 두어야 한다.

- 요구 청정도, 기류 및 기타 환경조건들을 만족시키기 위한 공기조화 및 기타 필요한 설비를 준비한다.


*출처청정실 기술기준SPS-KACA001-0131


*자세한 내용은 공식 블로그에서 확인해 보세요.


게시글 신고하기

신고사유

신고해주신 내용은 쇼핑몰 운영자의 검토 후 내부 운영 정책에 의해 처리가 진행됩니다.

닫기
댓글 수정
취소 수정
댓글 입력

댓글달기

영문 대소문자/숫자/특수문자 중 2가지 이상 조합, 10자~16자 등록
/ byte
왼쪽의 문자를 공백없이 입력하세요.(대소문자구분)

회원에게만 댓글 작성 권한이 있습니다.